시작하기에 앞서
타이머란?
타이머는 일정 시간마다 효과를 주는 것입니다.
일정한 효과를 주는데 그 효과는 소스 창에 입력하시면 되고
일정 시간은 속성에서 조절하시면 됩니다.
실행하시고요 타이머 하나 추가해줍니다. 타이머를 추가해주시면
이렇게 타이머가 추가되는 걸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타이머 한번 클릭해주시면.
속성 창이 나오는데 이걸 어디에 쓰냐 하면
Enabled는 타이머의 활성화 비활성화라고 보시면 됩니다.
true 일 때는 일정 시간마다 효과를 발생시키지만 false 상태에서는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Generatemen 뭐 된 거는 신경 쓸 필요 없고요
interval 은 위에서 나온 일정 시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단위는 밀리세컨드(?)입니다 1000이라고 적으면 1초가 되는 셈이죠
modifiers 랑 tag 이것도 별로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자 이제 왼쪽 하단에 타이머를 더블클릭하셔서 소스 창 여신 후에
Msgbox("1")
이렇게 입력해주세요
타이머는 보면 소스보다는 속성이 중요합니다. 소스를 입력했다고만 해서 효과가 발생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죠 속성에서 설정을 해야 효과가 발생합니다
소스에 적힌 건 1이라는 메시지를 띄우는 것이지만 타이머에 입력하게 되면 일정 시간마다 1이라는 메시지 박스를 띄우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번엔 속성 조절을 해보겠습니다
이렇게 interval의 100 적힌 거를 지워주시고요
이렇게 1000으로 바꿔주시고요
enabled에 False로 된 거 True로 바꿔줍니다.
false를 true로 바꾸어 주게 되면
효과를 줄 수 있게끔 바뀌게 됩니다.
이상 라남 이었습니다.
'프로그래밍 > 비주얼베이직 20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비주얼베이직2010/Key Press강좌 (0) | 2021.01.11 |
---|---|
15.비주얼 베이직2010/Do Loop문 (0) | 2021.01.11 |
13.비주얼 베이직2010/MsgBox(메세지박스)심화 (0) | 2021.01.07 |
12.비주얼 베이직2010/ProgressBar,진행바 사용하기 (0) | 2021.01.06 |
11.비주얼 베이직2010/WebBrowser (0) | 2021.01.06 |